뼈빌런 블로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CS/알고리즘 1

그래프 Graph

그래프 자료구조를 설명할 때, 노드와 간선을 이용하여 설명하는데 비유를 하면 네이버 지도의 길찾기와 같은 느낌인 것 같다. 대중교통으로 어떤 길을 찾아갈 때, 어느 지점(노드)에 버스를 타서 어느 지점에 내려서 어느 지점에 지하철을 타서 어느 지점에 지하철을 내려서 도착. 각 지점이 노드고 각 지점 사이는 간선이라고 볼 수 있다. 이 그래프를 표현할 때, 딕셔너리 + 리스트를 이용한다. 지점은 딕셔너리의 키 값을 이용하고, 해당 지점과 연결된 노드들은 딕셔너리의 값을 리스트를 이용하여 저장한다. (참고로 이 표현은 고정된 방식은 아니고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. '배열 + 링크드리스트' 조합도 가능하고 '2차원 배열'을 이용하여도 표현이 가능하다. 여기서는 아주 개인적으로 자주 봤던 조합을 이용하였다.) g..

CS/알고리즘 2023.07.18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뼈빌런 블로그

IT 개발 메모 기록

  • 분류 전체보기 (34)
    • Project (12)
      • [Project] Red Horse (9)
      • [Project] React DRF Blog (3)
    • React (1)
      • Next.js (7)
    • Python (9)
      • Django (2)
      • Deploy (5)
    • Java (1)
    • CS (4)
      • 알고리즘 (1)
      • 디자인 패턴 (3)

Tag

Blog, update_fields, Presigned URL, Red Horse, ERD Editor, Next.js 14, Uvicorn, nginx, useSessionStorage, Python, Next.js, Django, REACT, ubuntu, channels, ERD, redhorse, GoogleProvider, Slack API, drf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